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건강상식 질병

횡문근융해증 증상 치료



건강한 산체와 예쁜 바디라인 그리고 날씬한 각선미, 체중 감량 등 목적은 다르지만 오늘도 많은 분들이 운동을 열심히 하십니다. 갑자기 무리하게 운동을 하거나 오랫만에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통이 생기는 부작용은 어찌보면 당연한 건데요. 



가벼운 근육통 이겠지 대수롭지 않게 넘기다가 증상이 계속 되고 근육이 경직 또는 발작의 증상을 일으키고 콜라색 소변을 본다면 횡문근 융해증이란 질병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횡문근을 풀어서 가로무늬 근이라고 하며 운동 신경으로 지배되며 대부분 골격에 붙어 있는 수의근 입니다.



횡문근 융해증은  오랜 시간 고강도 운동으로 인해 에너지 소모량이 커지면서 근육으로 공급되어야할 에너지가 부족해지면서 생기는 질병입니다.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 속에서 근육이 수축과 팽창을 계속 하다보면 근육의 세포막이 손상되고 세포 속 물질들이 세포 밖으로 나오면서 혈액 속으로 스며들어 온 몸을 타고 다니며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질병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근육이 녹는 병이며 근육이 녹으면서 생긴 성분들이 피를 타고 온 몸에 돌아다니다 장기의 손상을 일으키거나 근육의 괴사를 초래 할수 있는 질환 입니다.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은 아니지만 발병하게 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이런 병도 있구나 하고 알아 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횡문근 융해증 증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고강도 운동후 콜라색 소변을 보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단순 근육통과 구분 하기 어렵지만 근육이 녹으면서 생긴 마이오글로빈이 소변에 섞여 배출되면 소변색이 콜라색을 띠거나 피오줌을 누게 됩니다.



근육이 녹아내려 단백질이 소변에 섞여 나왔다는 것은 신장 이미 큰 무리가 갔다는 신호 입니다. 단백질 입자는 굉장히 크기 때문에 여과 과정에서 신장에 큰 손상을 입히게 되어 여과 기능을 망가뜨려 심한경우 급성 신부전에 의한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횡문근 융해증 증상으로 소변 양이 줄거나 극심한 근육 손상으로 인해 몸을 가누기 힘들게 된다고 합니다. 이때는 열이 날 수 있으며 심한 통증이 생길수 있습니다. 또한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져서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생길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신장 기능의 이상을 들 수 있지만 다른 장기들도 단백질 부산물로 생긴 독성 물질로 인해 손상을 받을수 있기 때문에 콜라색 소변을 보셨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서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 검사시 높은 칼륨 수치와 함께 마이오글로빈이 검출 되었다면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해 보아야 하며 마이오글로빈 분해 물질들이 사구체를 손상시키게 되면 손상된 사구체는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운 장기중 하나이며 심한 경우 급성 신부전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횡문근융해증 환자중 15~30%정도가 급성 신부전증을 겪게 된다고 합니다.



횡문근융해증 치료를 위해서는 다량의 수액으로 단백질 부산물을 희석시키고 혈액량의 보충을 해야하며 이온 음료를 많이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심한 경우는 혈액 투석을 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소변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이뇨제를 투입하고 소변줄을 끼우게 될 수 도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져 만성 신부전증이 되면 평생 투석을 해야되거나 신장 이식을 받아야 될 수도 있습니다.



횡문근 융해증 예방법 으로는 운동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생활화 해야 하며 고온 상태에서 고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을 자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땀을 더 많이 내기 위해 스피닝 운동을 할때 실내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온 상태에서는 에너지 대사가 억제되어 근육 세포막을 이루는 지질이 녹게 된다고 합니다.



실내 운동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뜨거운 날씨에서 마라톤 등의 고강도 운동으로 인해 숙달된 운동 선수들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고 더운날 군대에서 고강도 훈련을 받다가 혈뇨를 누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음주 후 운동을 하거나 과도한 음주로 인해 횡문근 융해증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희박하지만 약물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서도 발병 하기도 합니다.



크로스 핏, 스피닝 등의 고강도 운동을 하게 되면 무조건 트레이너를 신뢰 하기 보다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운동 강도를 서서히 높여 가여야 합니다. 크로스 핏, 스피닝 등의 고강도 운동은 높은 지식과 경험이 많은 트레이너에게 지도 하에 하셔야 합니다.



운동 후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5대 영양분을 고루 섭취해야 합니다. 활성 산소를 제거 하기 위해 비타민을 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항산화에 도움이 되는 식품들을 섭취하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운동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무리한 운동 후 콜라색 소변을 눈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가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횡문근 융해증 증상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